본문 바로가기
생활경제

소비쿠폰 9월 상생페이백으로 이어받기(100% 이해하고 쉽게 신청하는 법)

by 프리돈북 2025. 8. 23.

 

 

2025년 9월부터 정부가 시행하는 ‘상생페이백’은 소비 증가분에 따라 최대 30만 원을 환급해 주는 파격적인 정책입니다. 단순한 할인이나 쿠폰이 아니라, 실제 소비 실적을 기준으로 보상받는 구조라서 참여만 잘하면 꽤 쏠쏠한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상생페이백이 무엇이며, 누가 신청할 수 있고, 또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지금 바로, 상생페이백의 모든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상생페이백-카드쓰고-돌려받기-썸네일
2025년 9월 상생페이백 카드 쓰고 내 돈 돌려받기

 

 

 

 

 

 

 

 

 

1.  상생페이백이란?

 

상생페이백은 정부가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시행하는 소비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책입니다. 이 제도는 2024년 카드 금액 대비 2025년 사용 증가분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방식으로, 월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를 들어, 2024년 9~11월 카드 소비액이 월평균 100만 원이었던 사람이 2025년 10월에 150만 원을 소비했다면, 증가분 50만 원의 20%인 10만 원을 환급받게 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과는 달리, 실제 소비액의 증가에 따른 보상이라는 점에서 더 사용한 만큼 더 혜택을 받는 정책입니다. 이 사업은 1조 3,700억 원 규모의 예산으로 운영되며, 선착순 지급이기 때문에 빠른 신청이 중요합니다.

 

 

 

2. 신청 대상 및 조건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2006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대한민국 국민 및 외국인 등록증을 보유한 외국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다음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2024년 9~11월 기간 중 국내 신용·체크카드 소비 실적이 있어야 함
  • 2025년 9~11월 카드 소비액이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증가해야 함
  • 본인 명의의 카드 실적만 인정되며, 대리 신청은 불가

 

 

3. 신청 방법과 일정

 

상생페이백은 온라인 신청이 원칙이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

 

  • 신청 기간: 2025년 9월 15일 오전 9시 ~ 11월 30일 자정까지
  • 신청처: 상생페이백 누리집 (상생페이백.kr)
  • 신청 첫 주(9월 15~19일):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 운영       

 

상생페이백-신청일-이미지
상생페이백 신청 첫 주 5부제 일정

   

 

 

  • 9월 20일부터: 요일제 제한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
  • 디지털 온누리 앱 회원가입 필수: 상품권 수령 및 사용을 위해 반드시 가입해야 함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다음 기관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전국 250개 전통시장 상인회
  • 78개 소상공인지원센터
  • 국민·우리·농협은행 및 농축협 영업점

 

이들 기관은 9월 15일부터 11월 28일까지 평일 영업시간 중 방문 가능하며, 신청 방법 안내 및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환급 방식과 사용처

 

상생페이백의 환급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지급됩니다.

 

  • 9월 소비분 → 10월 15일부터 지급
  • 10월 소비분 → 11월 15일부터 지급
  • 11월 소비분 → 12월 15일부터 지급

지급된 상품권은 디지털 온누리 앱을 통해 바로 사용 가능하며, 전국 13만 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처는 디지털 온누리 앱 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품권은 유효기간 5년이며, 충전한 상품권보다 페이백 상품권이 우선 결제되도록 시스템이 자동 설정됩니다.

 

단, 다음과 같은 결제 방식은 소비 실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 현금, 계좌이체, QR결제, 상품권 결제
  • 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결제
  • 키오스크, 테이블오더 등 무인 주문 시스템
  • 프랜차이즈 직영점,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기업 매장

 

반면, 소상공인 매장에서 카드단말기로 결제한 실적은 인정되며, 삼성페이·애플페이도 포함됩니다. 단말기를 통한 직접 결제가 핵심입니다.

 

상생페이백-사용처-이미지
상생페이백 사용처(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머니투데이)

 

 

 

마무리 : 지금 준비해야 할 이유

 

오늘은 상생페이백이 무엇인지부터 누가,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까지 모든 궁금증을 풀어드렸습니다. 고물가와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요즘, 정부에서 마련한 상생페이백은 우리 가계와 사업 운영에 큰 힘이 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소비 습관을 조금만 조정하면 최대 30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으니, 신청일을 꼭 기억하고 메모해 두세요!